알아두면 좋은 생계형 세무 지식

채권의 이자와 할인액, 보유기간 이자 상당액 (물가연동국채)

honour 2023. 6. 23. 11:30

채권의 이자와 할인액, 보유기간 이자 상당액 (물가연동국채)

 

채권의 이자와 할인액, 보유기간 이자 상당액의 이자소득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먼저 이자와 할인액을 이해하려면 채권의 이자지급에 따른 종류를 먼저 이해해야 합니다.

 

1.     이표채와 할인채

채권의 이자지급 방법으로 크게 이표채와 할인채로 나누어집니다. 이론상으로 분류하자면 종류가 더 많지만 실제 대부분의 채권은 이표채이고, 통화채나 금융채에서 할인채의 방식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이표채는 채권의 액면에 이표가 붙어 이자지급주기에 따라 이자를 지급받는 채권으로 보통 3개월, 6개월 단위로 표면이자율의 이자가 지급됩니다. 할인채는 액면금액에서 상환일까지의 이자를 공제한 금액으로 매출하는 채권으로 이자가 선급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예시) 액면 1,000만원, 이자율 3%의 만기 1년의 할인채와 이표채 비교
          (채권가격은 고려하지 않으며, 이표채의 이자지급주기는 6개월로 가정합니다)
 
할인채 : 970만 원으로 액면 1,000만 원의 채권 매수. 만기에 1,000만 원 상환  
이표채 : 1,000만 원으로 액면 1,000만 원의 채권 매수. 
6
개월 뒤 15만 원 수령. 만기에 원금 1,015만 원 수령  (만기 상환 1,000만 원 + 6개월 이자지급 15만 원)

      

2.     보유기간 이자상당액

채권 매매 시 보유기간 이자상당액은 채권매각가액에 포함되어 있지만 실질적인 이자이므로 이자소득으로 과세됩니다.

 

보유기간 이자상당액 = (채권가액 ⅹ 약정이자율) ⅹ 보유일 수/365

 위 식에서 약정이자율은 채권의 종류에 따라 계산법이 상이합니다.

 

전환사채, 교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에 대한 만기보장수익률이 별도로 있는 경우에는 만기보장수익률로 계산합니다. 채권 종목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고, 만기상환율이 100%라면 액면금액 그대로 상환됩니다.

일반적인 채권의 경우는 채권의 액면가액 ⅹ (표면이자율 + 발행 시 할인률 – 발행 시 할증률)로 계산됩니다. 발행시 할인율과 할증률이 없다면 표면이자율이 됩니다.

 

3.     물가연동국채 이자소득

물가연동국채는 원금이 물가에 연동되는 채권으로 발행주체는 국가입니다. 표면이자지급과 원금증가분(물가증가분)으로 구분되는데 모두 이자소득입니다.

물가채의 원금증가분 이자지급일의 물가연동계수에서 직전 원천징수일의 물가연동계수를 액면가액에 반영한 차이로 계산됩니다.

 

채권의 이자소득 중 이자와 할인액, 보유기간 이자상당액, 물가연동국채의 원금증가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타 명의 양도의 경우 보유기간 이자상당액에 대한 이자소득을 계산하여야 하므로 해당 내용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